Cho Kyoungjae
조경재
Selected Works
본인의 사진작업은 컴퓨터로 작업을 한 것이 아닌 실제 공간 속에서 다양한 재료들로 설치 후 아날로그 카메라로 촬영한 순수사진 작업이다. 콜라주나 포토샵을 이용한 작업이 아니라 실제 공간 속에서 카메라 뷰에 맞추어 가면서 촬영한 것으로 어떻게 보면 굉장히 아날로그적인 방식을 취하고 있다. 사진 속의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물체들인데 그 물체들은 다양한 방식의 설치를 통해 사진 속에서 그 대상이 가지는 원래의 기능과 형태를 잃어버리고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형태, 색채 등만이 남게 되어 서로 조합된다.
이 작업을 위해서 다량의 재료들을 수집하여야 하며 각각의 재료들의 모양과 색깔 질감 들을 잘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기 위해서는 정확한 계획 속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아니라, 모든 오브제, 재료들을 모아놓은 후 모든 사물과 공간을 유심히 관찰하고 보아야 한다. 이 재료들이 어떻게 놓여있는가? 이것들은 서로 어떻게 연결되고 나누어지는가? 무거움과 가벼움의 조화, 실제와 가상, 추상 속의 구상…등등 다양한 내용들은 작업 중에서 보면서 결정되어진다. 다시 설명하면 주제를 가지고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 과정 속에서 작업의 내용들이 하나하나씩 만들어지는 것이다.
BIO
학력
2006 상명대학교 사진학과 졸업
2007-2013 Kunstakademie Münster졸업(뮌스터, 독일)
2014 다니엘레 부에티의 마이스터 쉴러 수료
개인전
2021 모든 것에는 깨진 틈이 있지, 빛은 마로 거리고 들어오지, This is not a chuech, 서울
2020 여좌본부, SeMA창고, 서울
Blue pool, 서이갤러리, 서울
Live 옥상전: 여좌본부 II, 인천아트플랫폼, 창고갤러리, 인천
2019 Blue cheese, Schierkeseinecke Gallery, 프랑크푸르트, 독일
하야니, 갤러리 밈, 서울 (S)
미음기역, 금천예술공장, 서울 (S)
2018 치수(齒髓)를 드러내다, 아마도예술공간, 서울
2017 부서진 모서리, 프로젝트스페이스 사루비아, 서울
Babel I“, Projektspace BABEL, 베를린
2016 Ein Schwarze Kuh, Green Hill Galerie, 베를린
Leiter SADAR“, Kunst- und Kulturverein Drensteinfurt, 독일
5.5, 영은미술관, 광주
2015 Belt award, Gallery EM, 서울
주요 단체전
2021 송은미술대상전, 송은미술관, 서울
seeState(between, 화이트블럭, 파주
SKOPF 올해의 작가전, 고은미술관, 부산,
태화강 국제설치미술제, 태화강 국가정원, 울산
2020 비조각으로부터, 창원비엔날레, 창원
프로젝트 D, Lab203, 서울
배달의 속도, 스페이스55, 서울
2020 인천아트프랫폼: 당장의 질문,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미니미니미니의 활금;돌, 황금향, 서울,
2019 기하학 단순함 너머, 뮤지움 산, 원주, 한국
Triangle, 현대어린이책미술관, 성남, 한국
쿠니무라 준의 미끼, 금천예술공장, 서울
번외편 A-side-B, 금천예술공장, 서울
멀티탭: 감각을 연결하기, JCC아트센터, 서울
사다리타기, Lab203, 서울, 한국
2018 Unespace transformé, Geothe-Institut paris, 파리(2인전)
SHOW! ROOM!, SeMA NANJI Studio, 서울
난지 넌지, 난해한 지도, SeMA NANJI Studio, 서울
난지도에서 난지도 찾기, SeMA NANJI Studio, 서울
마사코여사의 의심: 줄, 예술공간 의식주, 서울
2017 Megabock, Uferhalle, 베를린
Expanding Photography, Städtischen Galerie Lüdenscheid, 독일
Expanding Photography, PM Gallery/ Meštrović Pavilion. 크로아티아
2016 Transformer, Rundgaenger Galerie, 프랑크푸르트, 독일(2인전)
Hidden Traces, Photo Weekend, 뒤셀도르프, 독일
Kaunas mene, Contemporary Art Festival, Kaunas Gallery, 카우나스, 리튜아니아
Kunst am Spreeknie, 베를린
2015 DIE GROSSE Ausstellung NRW Düsseldorf 2015, Museum Kunstpalast, 뒤셀도르프, 독일
Unseen Photo Fair, Gana Art Galerie, 암스테르담
Expanding Photography, Am Hawerkamp, 뮌스터, 독일
Malerei 15, Galerie Münsterland, 엠스데텐, 독일
Kunst am Spreeknie, 베를린
2014 Werkstatt Plettenberg, 플레텐베르크, 독일
Open Atelier, Cite des Arts, 파리
Neo Code, 오산문화공장, 오산
2013 Sommerakademie Salzburg, Saline Hallein, 잘츠부르크
Aus freiem Sinn, WGZ Bank, 뒤셀도르프
Foto-Special, Die Medienkunstmesse der C.A.R. 2013, 에센, 독일
2012 Fete des Wiener, HilgerBROTKunsthalle, 빈, 오스트리아
DIE GROSSE Ausstellung NRW Düsseldorf 2012, Museum Kunstpalast, 뒤셀도르프
Kunst in der Region 12, DA, Kunsthaus Koster Gravenhorst, 독일
Punkt ohne Wiederkehr, Kunstverein Wesselling, 베젤링, 독일
Förderpreis, Kunstverein Münster, 뮌스터, 독일
Hier und Jetzt, Stadt. Gustav-Lubcke-Museum, 함, 독일
2011 DIE GROSSE Ausstellung NRW Düsseldorf 2011, Museum Kunstpalast, 뒤셀도르프, 독일
High-heeled shoes can damage slides, Kunstverein Gelsenkirchen, 겔젠키르헨, 독일
unterwegs-zuhause, 카우나스, 리튜아니아
Kunst in der Region 11, DA, Kunsthaus Koster Gravenhorst, 독일
2010 Goldenes Dorf, Emscher Kunst 2010, am Stadthafen von Recklinghausen, 독일
2009 Do one thing at a time, Kunstverein Ulm, 울름, 독일
Epson art photo award, Art cologne, 퀼른,
레지던시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2020
금천 레지던시, 서울, 2019
난지 레지던시, 서울, 2018
영은 레지던시, 광주, 한국, 2016
Artward Kunstpreis, artist-in-resiedence, 브뤼셀, 2013
Stipendium Sommerakademie Salzburg, 잘츠부르크 2013
수상
서울시립미술관 SeMA신진 작가 선정, 2020
KT&G Skopf 선정작가, 2019
아마도 사진상, 한국, 2018
난지 레지던시, 서울, 2018
사루비아 선정작가, 서울, 2017
Kunst- und Kulturverein Drensteinfurt 선정작가, 독일, 2016
Belt award, 한국, 2015
Kunstpreis Wesselling, 독일, 2012
DAAD price, Münster, 독일, 2012
Epson art photo award 2009, Beste Einzelarbeit, 독일, 2009
작품소장
루드비히 뮤지움(쾰른, 독일), 서울시립미술관, 영은미술관, LVM예술수집(뮌스터, 독일), 인천문화재단